Atopic Dermatitis

아토피피부염

아토피피부염

아토피피부염은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 원인으로 인해 주로 유아, 소아 시기에 발생하는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 입니다.
원인
아토피피부염의 원인은 현재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장벽기능의 약화, 면역체계의 이상, 환경요인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증상
아토피피부염의 특징적인 증상 중에서는 가려움증이 가장 흔합니다. 급성기에는 가렵고, 붉어지거나 작은 물집이 잡히고, 진물이 나기도 합니다. 만성기에는 반복적으로 긁은 결과 피부과 딱딱하고 두꺼워지며, 갈색으로 착색이 되거나 하얗게 탈색되는 색소 변화가 동반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아토피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대개 호전 되지만, 일부에서는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남아 있기도 하며, 만성적인 경과를 가지므로 유발 및 악화인자를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해 나가야 합니다.
  • 악화인자의 제거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정상피부에 비해 민감한 피부를 가지고 있고, 비누/세제, 화학약품, 모직, 나일론 의류, 비정상적인 기온이나 습도에 대한 노출로 의해 피부자극이 생겨 피부염이 악화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면으로 된 의복을 착용하며, 평소 실내온도와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보습

    비정상적인 피부장벽기능이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므로 철저한 보습으로 피부관리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목욕 시 때를 밀지 말고 저자극성의 약산성 비누를 사용하고, 목욕 후에는 3분이내 보습제를 바르도록 합니다.
  • 약물치료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기본적인 약은 바르는 스테로이드 연고입니다.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약제이지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를 통해 부작용의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해야 합니다. 복용 약으로는 가려움을 완화시키기 위해 항히스타민제를 주로 사용하며, 아토피피부염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복용 할 수도 있습니다. 아토피 환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에 쉽게 감염 되며 이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각 감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해야 합니다.